‘위믹스 구하기’ CEO가 직접 총대 멨지만…
더스쿠프 컴퍼니 인사이트
위믹스 살리기 나선 위메이드
CEO가 직접 코인 구매하기도
P2E 게임 흥행 지속이 관건
게임업체 위메이드가 자사 암호화폐 ‘위믹스 살리기’에 여념이 없다. 대표가 나서 사들일 정도로 마케팅에 열심이다. 문제는 위믹스가 예전의 위상을 회복할 수 있느냐다. 위믹스에 쌓인 불신을 털어냄과 동시에 미르4를 잇는 흥행작을 계속해서 선보여야 하는데, 상황이 그리 만만하진 않다.
“위믹스를 매입했다. 대표직을 내려놓기 전까진 절대 시장에 팔지 않겠다.” 지난 8월 25일 장현국 위메이드 대표가 8월 급여를 전부 털어 자사가 발행한 암호화폐 ‘위믹스(WEMIX)’ 6만9104.89개를 구입했다고 밝혔다. 매입 시기가 정확히 언제인지는 알 수 없지만, 발표 당시 위믹스 시세(779.84원·8월 28일 코인마켓캡 기준)를 대입하면 총 5389만원어치를 사들인 셈이다.
장 대표가 위믹스를 매수한 건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그는 지난해 4월부터 현재까지 19회에 걸쳐 12억755만원으로 위믹스 86만8965개를 샀다. 위믹스 총 발행량(9억7220만7227개) 중 0.08%에 달하는 규모다.
그의 행보를 두고 위메이드 관계자는 “장 대표가 그만큼 위믹스에 큰 기대와 신뢰를 갖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지 않겠는가”라고 말했지만, 위믹스가 ‘믿을 만한 암호화폐’란 걸 의도적으로 알리기 위한 일종의 퍼포먼스라는 해석도 나온다.
그럼 위믹스가 어떤 암호화폐이기에 대표까지 사비를 털어 마케팅에 나선 걸까. 위믹스의 주무대는 이른바 ‘돈 버는 게임’으로 알려진 P2E(Play to earn) 게임이다. 여기서 위믹스는 일종의 화폐처럼 쓰인다.
위메이드의 P2E 게임인 ‘미르4 글로벌’을 예로 들어보자. 이 게임에서 유저는 게임을 하면서 보상으로 얻는 아이템 ‘흑철’을 ‘드레이코’라는 가상자산으로 교환할 수 있다. 드레이코를 다시 교환을 통해 위믹스로 바꾸고, 위믹스를 암호화폐 거래소에서 현금화하면 게임 이용자는 돈을 벌 수 있다.
이렇듯 위믹스는 P2E 게임에서 중요한 원동력이 된다. 이용자들이 돈을 벌기 위해 더 많이 게임을 하도록 유도할 수 있어서다. 위믹스의 쓰임새가 한 게임에 국한하지 않는다는 점도 P2E 게임의 또다른 특징이다. 미르4 글로벌에서 벌어들인 위믹스를 다른 P2E 게임에서 쓸 수 있다는 얘기다. 이를 겨냥해 위메이드는 “향후 위믹스가 통용되는 게임 100개를 확보하겠다”는 포부를 밝히기도 했다. 위믹스를 기반으로 하는 거대한 게임 생태계를 만들겠다는 거다.
이런 매력 덕분인지 2021년 8월 해외 이용자를 대상으로 론칭한 미르4 글로벌은 최고 동시 접속자 수 140만명, 누적 매출 1억4000만 달러(1850억원·1월 기준) 돌파 등 대기록을 세웠다.[※참고: 국내에선 미르4 글로벌을 즐길 수 없다. P2E 게임이 ‘게임 이용 결과물을 환전 또는 환전 알선하거나 재매입을 업으로 하는 행위’를 금지하는 게임산업진흥법에 막혀 있어서다.]
위메이드 실적에도 훈풍이 불었다. 매출은 1267억원(2020년)에서 3350억원(2021년)으로 3배 가까이 늘었고, 같은 기간 125억원이었던 영업적자도 974억원 흑자로 전환했다. 연초 1만1919원이었던 주가는 연말에 17만7900원을 기록해 연초 대비 15배나 뛰었다. 위메이드에 위믹스는 ‘황금알을 낳는 거위’나 다름없었다.
하지만 그로부터 2년이 흐른 현재, 위믹스의 위상은 예전과 같지 않다. 발행 초였던 2021년 말 2만원선에서 거래되던 위믹스 가격은 현재 741.31원(9월 5일 기준)까지 떨어졌다. 위믹스를 둘러싸고 크고 작은 문제들이 잇달아 터진 탓이다.
일례로 지난해 12월 8일 디지털자산거래소 공동협의체인 닥사(DAXA·Digital Asset eXchange Alliance)는 원래 계획한 유통량보다 실제 유통량이 훨씬 많다는 이유로 위믹스를 상장폐지했다.
이 때문에 1만원이 넘던 위믹스 가격은 상장폐지 당시 209원(업비트)까지 곤두박질쳤다. 2개월 뒤 닥사 중 하나인 코인원에 재상장하긴 했지만 투자자들이 신뢰를 잃은 탓인지 예전 가격대를 회복하는 덴 실패했다.